전자계산기구조 - Chap3.명령어 집합 예제 문제
1. 다음 중 어셈블리어와 관계없는 것은?
2
2. 다음 중 피연산자의 수를 줄이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?
4
3. 다음 분기 명령어 중 가장 많은 작업을 수행하는 연산은?
1
4. CPU 내부에 기억장치를 추가할 때 나타나는 효과와 관계없는 것은?
3
5. 다음 중 폰노이만형 컴퓨터 연산자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?
3
6. 명령어 실행 사이클 중 간접 사이클 동안에 수행되는 것은?
2
7. 메모리를 참조할 때 데이터의 주소를 명시하기 위한 버퍼는?
4
8. 다음 중 고정 길이 명령어와 관계없는 것은?
4
9. 다음 명령어 중 종류가 다른 것은?
1
10. 명령어의 길이가 2바이트라고 가정할 때 프로시저 호출 명령 ‘cal proc’의 의미는?
5
11.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의 이름은 무엇인가?
PC(Program Counter)
12. 5절의 메모리-메모리 컴퓨터와 가정이 동일할 때, y = ax^2 + b를 연산하는 데 필요한 총 메모리 트래픽은?
16바이트
13. 프로시저를 호출할 때 복귀 주소를 저장해야 한다. 복귀 주소를 위한 저장 공간으로 특정 레지스터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무엇인가?
스택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복귀 주소 관리가 어렵다. 프로시저 중첩 호출, 재진입 가능한 프로시저를 호출할 수 없다.
14. 프로그램과 컴퓨터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완전한 정의 혹은 명세를 무엇이라고 하는가?
명령어 집합 구조 Instruction Set Architecture
15. 정수를 표현하기 위한 부호-크기 방식은 0이 2개 존재한다. 이는 좋은 명령어 집합 구조를 위한 ( ) 에 위반된다.
적절성
16.
4500 -> SUB 500, 2500 -> STA 500
17. 명령어 인출 사이클에서 발생하는 작업을 기호를 사용하여 순서대로 나타내되 MAR과 MBR에 대한 경유 과정도 포함하라. 단, 명령어의 길이는 4바이트이다.
MAR <- PC; MBR <- M[MAR]; IR <- MBR; PC <- PC + 4
댓글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