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 - 문자와 문자열
이전에 우리는 문자상수를 다루는 방법을 살펴보았었습니다. 즉 1바이트짜리 정수형의 공간을 만들고자 할때는 char ss; 로 선언하고, 이곳에 -128 ~ 127 사이의 값을 저장할 수 있었죠. ss=14; 그런데 이렇게 선언된 1바이트짜리 공간에는 문자상수를 저장할 수도 있었습니다. ss=’H’;
렇게 H 라는 문자를 ss 에 저장한다하더라도 실제로는 어떤 값이 저장된다고 결국에는 정수형값 하나가 담기는 셈
\0
문자열을 출력하다가 \0
을 만나면 그 뒤의 문자들은 출력하지 않는다.
#include <stdio.h>
main() {
char ss[] = "hello World"; // 문자열에 담긴 문자가 3개면 \0를 포함해서 컴파일러가 알아서 4개의 기억공간을 만든다.
printf("%c",ss);
}
#include <stdio.h>
main() {
char hh[3] = "kss";
int i;
printf("%s\n",hh);
for(i=0;hh[i] != '\0';i++) {
printf("%c",hh[i]);
}
}
댓글남기기